
저번 주 오랜만에 사무실을 갔다. 집에 가기 전 책장에 꽂혀있는 책이 보여서 가져왔다. 종이의 질감이 마음에 안 들면 손이 가지 않는데 부드러웠다. 책보다는 영상을 더 많이 보는편이다. 이전에도 글을 잘 읽는 편은 아니었다. 근데 어느 순간부터 더 자극적인 거에 빠지는 게 심해졌다. 유튜브를 너무 많이 봐서 스크린타임 시간제한을 걸어봤는데 계속 시간 제한을 늘려가고 있다. 요즘에는 나뿐만 아니라 이런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카테고리를 뇌과학이라고 하는 게 맞을지 모르겠는데 집중력, 쾌락, 자극, 도파민 이런 키워드를 가진 책, 유튜브 영상이 많이 보인다. 어렵다. 살다보니 삶도 잘 지내다가 못 지내다가 반복하는 패턴이 있는 것 같다. 요즘은 삶의 패턴이 무너져 못 지내는 때이다. 시야가 좁고 판단이 흐..

Notification Channel 참조: https://cloud.google.com/monitoring/support/notification-options 알림 채널 만들기 및 관리 | Cloud Monitoring | Google Cloud Google Cloud 콘솔에서 Cloud Monitoring 알림 정책을 사용하여 알림 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loud.google.com Notification Channel 추가 먼저 이메일을 추가해 줬다. 근데 문서를 보면 여러 알림 채널을 권장하고 있다. (We recommend that you create multiple notification channels for redundancy purposes.) 사내메신저로 사용하고 있는 m..

커밋 메시지를 영문으로 잘 작성하는 건 어렵다. 처음 작성할 때는 블로그 를 많이 참조했었다. 이제는 작성한 지 18개월이 넘었는데 여전히 어렵고 비슷한 문장만 쓰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지 보려고 요즘에 하는 프로젝트의 커밋 메시지 기록을 봤다. git log --pretty=format:"%s" --no-merges | awk '{print $1}' | sort | uniq | wc -l git log --pretty=format:"%s" --no-merges | awk '{print $1}' | sort | uniq -c | sort -nr 종류는 77가지인데 10번 이상 쓰이는 단어는 8가지였다. 120 Fix 105 Implement 79 Add 38 Use 33 Change 25 Up..

간단한 웹 앱을 만들어 배포하고 싶었는데 GCP 에서 VM 을 생성해서 쓰려니 e2-medium 정도만 해도 월 30불이 넘어가서 너무 비싸게 느껴졌어요. 집에 게임하려고 사둔 데스크탑이 있는데 잘 안 써서 서버로 쓰려고 하는 과정을 중간에 삽질을 좀 했어서 메모해 둬요. 가끔 윈도우도 쓰고 싶을 테니 멀티부팅으로 설치했어요. 0. 초기 설정 타임존 설정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sudo systemctl reboot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sudo apt-get --purge --no-install-recommends dist-upgrade sudo apt-get --purge --no-install-recommends autorem..

한글 이름을 오름차순으로 조회하는 요구사항이 있었다. 쿼리가 아닌 DBeaver 와 같은 SQL 클라이언트에서 편집기로 정렬했을 때는 기대한 바와 같았는데 쿼리 결과는 기댓값과 달랐다. 여러 번 조회하고 규칙을 보니까 2글자의 이름이 먼저 뽑혔다. GCP의 SQL을 사용하고 있는데 먼저 default collate 를 조회해 봤다. SHOW lc_collate; /* en_US.UTF8 */ 지금은 이름 컬럼의 정렬만 한국어로 정렬되면 돼서 이름 컬럼의 collate 를 변경해 보자. ex. 테이블명은 profile, 컬럼은 text 타입의 name ALTER TABLE profile ALTER COLUMN name SET DATA TYPE text COLLATE "ko_KR.utf8"; 이렇게 name..

이전에 사두고 조금씩 보다가 이제 다 봤어요. 샀을 즈음에 어디 책 잘 읽는 유튜버가 책 읽을 때 인덱스 표시 해둔다는 거 보고 따라 해 봤는데 좋은 것 같아요. 일단 멋있어요. 이 책이 자기 개발서는 아니지만 자기개발 관련된 책들은 뻔한 내용이 많고 꾸준히 적용을 하지 않으면 쓸모가 없는 느낌이라 잘 안 보는데 이건 나름 재밌게 봤어요. 종이의 재질이 좋지 않으면 손으로 페이지 넘기기가 싫은데 다행히 좋았어요. 좀 까다로운 듯.. 뭔가 중간중간 메모를 해야 할 것 같은 내용이 있었는데 띄엄띄엄 읽다 보니 기억에서 사라졌어요... 그래도 여전히 생각나는 키워드만 적어봤어요. 적용을 해야 뭐라도 될 텐데요. 쉬워 보이는 것부터 해봐요. 다음엔 재밌는 거 볼래요. 빠잉 짧은 주기의 피드백과 회고하기 일 적절..
ㅂㅌ ㅂ ㄱ ㅎ 03-24 금 10 15 10 20 / 5 03-25 토 10 15 10 20 / 5 03-27 월 10 15 10 20 / 5 03-28 화 10 15 10 20 / 5 04-02 일 10 15 10 20 / 4 04-03 월 10 15 10 20 / 5 04-04 화 10 15 10 20 / 4 04-05 수 10 15 10 20 / 5 04-08 토 10 15 x x / 5 04-10 월 10 15 10 20 / 5 04-11 화 10 15 10 20 / 5 04-12 수 10 15 10 20 / 5 04-13 목 10 15 10 20 / 5 50 / 1 04-14 금 10 15 10 20 / 5 04-15 토 x 15 15 20 / 5 04-18 화 4k 2523 04-20 목 4..

문제 이미지 업로드 시 버킷에 업로드된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이미지 객체의 너비와 높이와 일치하지 않음. /** 기존 구조 1. `sharpInstance` 생성 2. `sharpInstance.rotate()` 3. 버킷에 이미지 업로드 4. `metadata.width`, `metadata.height` 를 `DB` 에 저장 */ const sharpInstance = sharp(buffer); sharpInstance.rotate(); const metadata = await sharpInstance.metadata(); const image = { // ... width: metadata.width, height: metadata.height, } bucket.upload(..
- Total
- Today
- Yesterday
- 패스트캠퍼스 컴퓨터공학 완주반
- 이펙티브자바
- 백기선 스터디
- 이펙티브자바 스터디
- js api
- 프로그래머스
- JS 딥다이브
- java
- dreamcoding
- js array
- Spring Security
- HTTP 완벽 가이드
- 이펙티브자바 아이템59
- GCP
- 드림코딩
- 이펙티브자바 아이템60
- http
- 프로그래머스 SQL
- 킹수빈닷컴
- js promise
- HTTP 완벽가이드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 김영한 http
- 집 구하기
- REST API
- BOJ
- 백준
- JPA 연관관계 매핑
- 모던자바스크립트
- 김영한 JP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